Express Express란? Node.js를 위한 빠르고 간결한 웹 프레임워크 Express 공식 사이트에서는 스스로를 “빠르고 간결한 웹 프레임워크"라고 소개하고 있다. 프레임워크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라고 알려진 서버사이드 웹 프레임워크는 적절한 URL 핸들러로 라우팅,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 유저 인증 및 세션, 보안 등 일반적인 웹 개발 작업을 단순화하는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웹 프레임워크는 매우 다양하고 각 언어별로 존재하는데, 인기있고 유명한 대표적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다. More

HTTP모듈을 이용한 서버 import * as http from 'http' //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 res) => { // 요청에 대한 응답 // req는 요청에 관환 정보를, res는 응답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음.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헤더 작성 res.write('<h1>Hello Node!</h1>'); // 본문 작성 res.end('<p>Hello Server!</p>') }).listen(8080, () => { //서버 연결. 8080포트를 할당함. console.log(); }; createServer를 여러 개 호출하여 포트를 다르게 하면 동시에 여러 서버를 띄울 수 있다. More

사용 이유 HTTP는 기본적으로 비연결성, 무상태성 특징을 가진다. 때문에 서버는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기억하지 않으며 반복적인 인증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한 속도 저하 이슈 또는 로그인 등의 상태 유지를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쿠키는 주로 다음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다. 세션 관리 로그인, 장바구니, 게임 스코어 등 정보 유지 개인화 사용자 선호, 테마 등의 세팅 트래킹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 및 분석 쿠키 HTTP 쿠키는 서버가 헤더에 담아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 More

REST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로,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이다. 통신 방식 중 하나로 일종의 약속이며, 구체적으로는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떤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 수행 요청을 URI에 보내는 것.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 인터넷 상에서의 각종 정보들의 고유한 식별자이다. URI의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자원의 위치를 표시한 것을 URL, 이름을 표시한 것을 URN이라고 한다. More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 비순차적으로 연결된 하이퍼텍스트를 보다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즉, HTML을 포함한 JSON, XML,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은 데이터를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이루어질 요청 및 응답 방식을 정해둔 규칙이다. 프론트엔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백엔드 서버 간의 통신에도 사용된다. HTTP는 기본 포트로 80을 사용함. by Yurim Koo HTTPS란 HTTP에 보안성을 더한 것으로 HTTP에 over Secure Socket Layer가 붙는다. SSL 또는 TLS와 같은 인증 및 데이터 암호화 송수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것으로 암호화되지 않은 HTTP 프로토콜이 탈취, 변조 등의 위험에 노출된 것에 비해 안전하므로 전자상거래 또는 로그인 등이 필요한 사이트에서 주로 이용된다. More

fs모듈 NodeJS에서 파일 시스템 접근을 위해서는 파일을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한 fs 모듈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메소드들이 동기/비동기로 나뉘며, 동기방식의 메소드는 Sync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동기적 방식을 사용하면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며, 비동기적 방식은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으며 완료된 후 매개변수로 전달된 callback 함수를 호출한다. 비동기 방식은 항상 수행 완료시 호출될 callback 함수가 작성되어야 한다. 비동기 방식 파일 쓰기 main.mjs import fs from 'fs'; const text = 'fs.writeFile test' fs. More

모듈 기존의 NodeJS에서는 CommonJS 모듈 시스템을 채택하여 require()로 모듈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ES모듈을 지원하여 export import를 사용할 수 있다. CommonJS CommonJS 방식을 통한 모듈 생성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module.exports를 사용하는 방식과 exports를 사용하는 방법인데, 단일 객체를 내보내는 경우와 여러 객체를 내보내는 경우로 나누어 사용하게 된다. require()을 통해 프로젝트 내부 모듈을 불러올 때는 확장자를 생략할 수 있다. exports calculator.js const add = (a, b) => { return a + b }; const subtract = (a, b) => { return a - b }; exports. More

Page 1 / 1
Top